인천 민주화운동기념관 건립 첫 발…인천시 5월 타당성 용역 심의

인천 미추홀구 주안동 옛시민회관쉼터에 ‘다시 부르마, 민주주의여!’라고 적힌 ‘인천 5·3 민주항쟁’ 기념비가 서 있다. 경기일보DB

인천 민주화운동기념관 건립이 추진 5년만에 첫발을 내딛는다.

17일 인천시에 따르면 오는 5월8일께 용역심의위원회를 열고 ‘인천민주화운동기념관 건립 기본구상 및 타당성 조사용역’을 심의할 예정이다. 시는 최종 기념관 후보지와 규모를 확정하고, 프로그램과 교육, 연구 등 콘텐츠를 마련하기 위해 이번 용역을 추진한다.

시는 만약 용역이 심의를 통과하면 오는 6월 제1회 추가경정예산에서 예산 1억원을 확보해 용역을 추진한다. 최종 결과는 이르면 올해 말께 나오는 만큼, 시는 내년 초까지 최종 부지를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시는 지난 2020년부터 기념관 건립을 추진해왔다. 인천연구원은 지난 2024년 11월 기념관 입지를 찾는 타당성 조사를 벌여 옛 시민회관 쉼터 등 모두 9곳의 후보지를 마련하기도 했다. 하지만 옛 시민회관 쉼터는 문화체육관광부의 국책사업으로 운영 중인 틈문화창작지대의 이전이 쉽지가 않아 최종 부지 선정을 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추가로 기념관이 들어설 다른 부지도 확인할 예정이다.

특히 시는 타당성 용역과 함께 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등 민간과 학계 등을 포함한 민·관·학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기념관 설립을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김대영 인천시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은 “유정복 인천시장도 기념관 건립에 동의한 만큼, 이번 용역은 반드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시는 소극적인 태도를 버리고 기념관 건립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며 “특히 인천 5·3항쟁의 역사적 의미를 고려하면 옛 시민회관 터가 기념관의 최적지”라고 덧붙였다.

시 관계자는 “기념관을 지으려면 우선 부지를 확보해야 하는데, 마땅한 곳을 찾기가 쉽지 않다”며 “시유지를 대상으로 용역을 통해 적합한 곳을 찾아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업회 등 시민들과 TF를 만들어 추진 방향을 논의할 계획”이라며 “늦어도 2026년 초까지는 사업 대상지를 확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전 기사[노트북] 이제는 ‘정치 중심지’ 인천
다음 기사인천 서구의회, ‘국가유산 정책연구회’ 보존·활용 방안 논의|스포츠동아